2025년 1월 한국의 수출은 10.3% 감소하였고, 무역수지는 18억 9,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하며 20개월 만에 적자로 전환되었습니다. 설 연휴 영향으로 수출이 둔화되었지만, 반도체 수출은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대중국과 대미국 수출이 감소한 가운데, 대베트남 수출은 성장세를 이어갔습니다.
![]() |
1월 수출 마이너스 명절 때문 |
2025년 1월 수출 감소 및 무역수지 적자 전환
2025년 1월, 한국의 수출이 10.3% 감소하며 16개월 만에 수출이 하락세로 전환되었습니다. 이는 예년의 수출 흐름을 감안했을 때 상당히 큰 변화로, 경제 전문가들에 의해 다양한 분석이 이루어졌습니다. 특히, 이번 수출 감소는 설 연휴의 영향으로 조업일수가 적었던 것과 관련이 깊다고 평가됩니다. 2025년 1월의 수출액은 491억 2000만 달러로, 2024년 1월 대비 10.3% 감소했습니다.
1월 수출 현황 및 감소율
2025년 1월의 수출 감소는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소 중 하나는 설 연휴로 인해 1월의 조업일수가 크게 줄어들었던 점입니다. 수출은 설 연휴로 인해 약 4일 정도의 조업일수 감소가 있었고, 이는 수출 실적에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실제로, 이번 1월의 일평균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7.7%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며, 일시적인 수출 둔화라는 평가가 많습니다.
무역수지 적자 기록
2025년 1월 한국의 무역수지는 18억 9,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지난 2023년 6월 이후 19개월 만에 기록된 적자입니다. 수입액은 510억 달러로, 전년 대비 6.4% 감소했습니다. 수입 감소에도 불구하고 적자가 발생한 것은 수출 감소폭이 더 컸기 때문입니다. 무역수지의 적자는 한국 경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원자재 수급이나 제조업 경쟁력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설 연휴 영향 및 수출 둔화
2025년 1월 수출 감소의 주요 원인은 설 연휴로 인한 조업일수 감소입니다. 이는 모든 산업 분야에서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수출 중심 산업에서 두드러진 영향을 끼쳤습니다. 또한, 설 연휴가 1월로 이동하면서 조업일수가 4일 감소했기 때문에 수출 실적이 일시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설 연휴가 끝난 후에는 수출 실적이 정상화될 것이라는 예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주요 수출 품목 분석
2025년 1월 수출 품목별로 살펴보면, 반도체 수출은 101억 달러로 전년 대비 8.1% 증가하며, 수출을 견인한 주요 품목으로 떠오르며 좋은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반도체는 한국의 대표적인 수출 품목으로, 글로벌 수요가 여전히 강하게 이어지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그러나 자동차 수출은 50억 달러로 19.6% 감소했으며, 석유제품 수출도 34억 달러로 29.8% 감소했습니다. 이는 다른 품목들의 부진과 맞물려 전체 수출 감소에 기여한 요소입니다.
국별 수출 현황
2025년 1월, 한국의 수출 시장을 보면 대중국과 대미국 수출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중국 수출은 14.1% 감소한 92억 달러였고, 대미국 수출은 9.4% 감소한 93억 달러였습니다. 이는 글로벌 경제 상황의 불확실성 때문일 수 있으며, 특히 대중국 수출은 중국의 경제 성장 둔화와 맞물려 있기도 합니다. 그러나 대베트남 수출은 4.0% 증가한 44억 달러로, 13개월 연속 증가세를 기록하며 긍정적인 흐름을 보였습니다.
향후 전망 및 정부 평가
산업통상자원부는 설 연휴로 인한 수출 둔화가 일시적인 현상에 불과하다고 평가하며, 2025년 전체 수출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았습니다. 정부는 수출 품목 다변화와 해외 시장 개척 등을 통해 수출 실적을 회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또한, 수출의 일평균 증가율이 여전히 긍정적인 추세를 보이고 있어, 향후 경제 회복과 함께 수출도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항목 | 2025년 1월 | 2024년 1월 | 변화율 |
---|---|---|---|
총 수출액 | 491억 2000만 달러 | 547억 2000만 달러 | -10.3% |
총 수입액 | 510억 달러 | 544억 달러 | -6.4% |
무역수지 | -18억 9,000만 달러 | +3억 4,000만 달러 | 적자 전환 |
반도체 수출액 | 101억 달러 | 93억 3,000만 달러 | +8.1% |
자동차 수출액 | 50억 달러 | 62억 달러 | -19.6% |
'국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대통령, 새로운 관세 부과 방침 발표: 경제에 미칠 영향은? (0) | 2025.02.07 |
---|---|
2025년 1월 한국 무역수지 적자, 수출 감소 영향 분석 (1) | 2025.02.07 |
LG CNS 상장 후 목표주가 조정, AI와 클라우드 호재 분석 (0) | 2025.02.06 |
현대차그룹과 HD현대, 두 개의 대기업집단 차이점은? (1) | 2025.02.05 |
AI 메모리 수요 증가로 2024년 SK하이닉스 실적 급증, HBM 성장 (0) | 2025.02.05 |